Company

Newsroom Newsroom

언론에서 소개된 인텔렉추얼데이터의 전문성과 성공사례를 확인하세요. 언론에서 소개된 인텔렉추얼데이터의
전문성과 성공사례를 확인하세요.

도큐사인, ‘인텔렉추얼데이터’ 손잡고 국내 전자서명 시장 진출

29 October 2020 | 데이터넷(https://www.datanet.co.kr) | 강석오 기자

글로벌 전자서명 리더 도큐사인(DocuSign)이 국내 리걸테크 기업 ‘인텔렉추얼데이터’와 손잡고 한국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인텔렉추얼데이터는 도큐사인 전자서명 관리, 템플릿 및 내부시스템 통합 전문가 자격을 획득, 내달부터 도큐사인 전자서명 솔루션 공급 및 한국어 기술 지원 서비스 등 각종 서비스를 국내에서 단독으로 제공 예정이다.


도큐사인의 전자서명 솔루션은 현재 넷플릭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등 약 50만 개의 글로벌 기업이 사용, 미국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며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제품으로 강력한 보안 시스템, 사용자 중심 서비스,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한 내부 인트라넷 연동 활용이 큰 강점이다.


도큐사인의 가장 큰 강점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보안 시스템이다. 도큐사인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ISO 27001: 2013’ ▲미국 공인회계사협회에서 발급하는 보안 인증 SOC 1Type 2, SOC 2 Type 2 ▲업계 최초 미국 정부의 보안 인증 ’FedRAMP’ 등 보안 관련 다양한 기관의 인증을 획득했을 뿐 아니라 보안 규정 준수 관련 독립팀을 운영, 은행 수준의 강력한 보안 시스템을 자랑한다. 


이외에도 이메일, SMS, 접근코드 생성 기능을 통한 본인 인증 시스템 구축 및 관리자 기능에서는 저장된 인감 및 서명 이미지에 대해 접근 제한을 할 수 있어 문서 훼손 위험성을 최소화했다. 계약이 완료된 후에는 문서의 법력 효력을 위해 사용자들의 모든 행동 및 이력을 로그형태로 기록, 원본을 보증한다.


사용자 중심 서비스의 경우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 모두 지원, 기업 환경에 따라 맞춤형으로 소프트웨어 설치가 가능하다. 사용자 편리를 위해 다양한 언어도 지원한다. 한국어로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한국어와 영어 등을 포함 전 세계 44개 언어로 작성된 문서 서명이 가능하다. 더불어 도큐사인에서 제공하는 자동 서명 생성 기능 외에도 스탬프 기능을 제공,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서명을 저장해 편의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슬랙(Slack), 세일즈포스(Salesforce) 등 350개 이상의 글로벌 솔루션 및 기업 내부 시스템과 통합해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 API를 제공, 간편하게 도큐사인 설치가 가능하다.


인텔렉추얼데이터 관계자는 “전 세계 188개 국가에서 사용하는 도큐사인의 한국 진출을 통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국내 시장에서 도큐사인이 활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인텔렉추얼데이터·도큐사인, AI 기반 계약관리 세미나 공동 개최
인텔렉추얼데이터·도큐사인, AI 기반 계약관리 세미나 공동 개최

AI로 진화하는 계약관리… 글로벌 기업 법무팀 관심 집중인텔렉추얼데이터와 도큐사인(Docusign)이 공동 주최하는 ‘도큐사인과 AI - 글로벌 계약 관리의 새 기준’ 세미나가 오는 7월 9일(수) 서울에서 열린다.이번 행사에는 지능형 계약관리 기업 도큐사인의 아시아태평양(APAC) 본사 리더들이 직접 방한해, 한국 고객을 대상으로 최신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다.특히 이번 세미나는 글로벌 기업의 실제 도입 사례와 함께, 영문 계약을 중심으로 글로벌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국내 법무팀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AI 기반 계약관리 전략을 소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도큐사인은 전자서명을 넘어, 엔드투엔드(end-to-end) 계약관리를 실현하는 AI 기반 지능형 계약관리 플랫폼을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기술 자체가 아닌 실제 적용 사례 중심으로 진행된다. AI가 계약 검토, 조항 추출, 승인 절차에 어떻게 실무적으로 기여하는지를 보여주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도큐사인은 2024년 4월, 지능형 계약 관리(Intelligent Agreement Management, IAM) 플랫폼을 공식 출시했다. IAM은 도큐사인 제품군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한 플랫폼으로, 출시 1년이 채 되지 않았음에도 올해 1분기 기준 글로벌 고객 수가 10,000명을 넘어섰다. 도큐사인은 계약의 생성부터 검토, 서명, 보관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하는 CLM(Contract Lifecycle Management, 계약 라이프사이클 관리) 솔루션도 제공하고 있으며, CLM 부문에서 5년 연속 Gartner 리더로 선정되었다.국내에서도 영문 계약서 활용이 많은 법무팀을 중심으로 관심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번 세미나는 그 수요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가이드를 제시한다. 특히 실무자가 직접 수행하던 계약 검토, 리스크 식별, 유사 조항 비교 등의 작업을 어떻게 자동화할 수 있는지를 데모와 사례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단순한 기능 소개를 넘어, 도입 후 실제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글로벌 기업의 정량적 성과도 공유될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도큐사인 APAC 리더들이 방한해 직접 발표에 나선다. 세미나는 IAM 소개와 함께, 계약 라이프사이클 관리(CLM) 데모 시연, AI 기반 계약 검토(도큐사인 Iris), 글로벌 기업들의 CLM 활용 사례, 국내 기업들의 전자서명 활용 방식 등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도큐사인은 미국(ESIGN Act, UETA), 유럽연합(eIDAS), 영국(Electronic Communications Act 2000) 등 주요 국가의 전자서명 규정에 따라 기업들이 컴플라이언스를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IAM 출시에 앞서 Seal Software, Clause, Lexion 등 계약 AI 전문 기업을 인수하며 계약 분석, 자동화, 조항 추출 등 핵심 기능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왔다. 도큐사인의 한국 공식 파트너인 인텔렉추얼데이터 관계자는 “국내에서도 전자서명 도입은 활발하지만, 계약 전체를 자동화하고 분석까지 가능한 플랫폼 도입은 이제 막 시작되는 단계”라며 “이번 세미나는 도큐사인 APAC 본사 팀이 직접 방한해 한국 고객과 소통하는 기회이자, 글로벌 기업들이 어떻게 계약 효율성과 컴플라이언스를 확보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리’라고 말했다. 세미나는 7월 9일(수) 오후 3시부터,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2층 카멜리아홀에서 열리며, 참석은 인텔렉추얼데이터를 통해 사전 등록 후 가능하다.참여 신청: https://forms.office.com/r/BZDGVRCy3Q 문의: https://intellectualdata.com/page/Contact_Us 

Jul 04 2025

인텔렉추얼데이터, KINPA 워크숍 2025서 미국 이디스커버리 최신 동향 발표
인텔렉추얼데이터, KINPA 워크숍 2025서 미국 이디스커버리 최신 동향 발표

이디스커버리(eDiscovery) 전문 기업 인텔렉추얼데이터가 최근 한국지식재산협회(KINPA) 워크숍 2025에서 미국 민사소송 절차의 핵심인 이디스커버리의 최신 동향과 글로벌 소송 대응 전략에 대해 발표했다.이번 행사에는 중소·중견기업부터 대기업 지식재산권(IP) 실무자에 이르기까지 28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인텔렉추얼데이터는 한국지식재산협회 골드 스폰서로 참여해 단독 세션을 운영했다. 세션에서는 최신 미국 소송 판례를 중심으로, 클라우드 기반 업무 협업 솔루션 활용과 하이퍼링크 등 최근 다양해진 디지털 데이터가 소송에서 증거로 활용된 사례와 기업의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다뤘다.미국 등 영미권 국가에서는 민사소송 전, 당사자들이 증거를 상호 공개하는 '디스커버리(증거개시)' 제도가 핵심 절차로 작용한다. 이 가운데 전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이디스커버리(eDiscovery)'는 이메일, 사내 메신저 기록, 공유 문서 등 방대한 전자 정보를 수집·분석하며, AI 기술과 전문 솔루션이 필수적으로 동반된다.최근 한국 기업의 미국 진출과 더불어 특허소송이 늘어나면서, 이디스커버리는 리스크 관리, 중요 기술의 해외 유출 방지, 소송 비용 절감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이번 세미나에서 인텔렉추얼데이터는 최근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FRCP)의 변화와 이디스커버리 관련 기조, 디지털 증거 수집·제출에 대한 법원의 판단 기준 및 최신 판례를 소개했다. 이어 이디스커버리 전 과정을 설명하며, 국내 기업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대응 전략을 공유해 참석자들의 관심을 얻었다.한국지식재산협회 관계자는 “지식재산은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며, 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글로벌 소송에 대한 사전 준비가 필수”라며 “인텔렉추얼데이터처럼 이디스커버리에 전문성을 갖춘 국내 기업이 있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며, 협회 회원사들에도 중요한 파트너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인텔렉추얼데이터 관계자는 “미국 등 글로벌 소송에서 이디스커버리는 소송의 성패를 가를 수 있는 핵심 데이터를 취급하는 만큼, 국내 기업에 최적화된 전략을 지속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며 “향후 한국형 디스커버리 제도(K-Discovery)가 본격 도입될 경우, 선도 기업으로서 현장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인텔렉추얼데이터는 국내 10대 기업 중 8곳에 이디스커버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한국과 미국에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다. 다수의 대형 소송 경험을 기반으로, 국내 기업의 환경과 요구에 맞춘 리걸테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Jun 02 2025